- 예선 대회는 3인~4인 1조 형태의 배틀방식으로 진행 됩니다.
- 각 조에서 1등을 한 참가자는 챔피언전에 진출하게 됩니다.
- 무대는 이에 따라 3~4개의 시연 스테이션과 제출 스테이션으로 준비됩니다.
- 준비된 시간 안에 센서리 1잔(동그라미), 하트 1잔, 로제타 1잔을 제출해야 합니다.
예선전 진행방식
- 각 참가
자들은 다음과 같이 할당된 시간에 준비를 마치고 시연하여 작품을 제출해야 합니다.
구 분 | 시 간 | 내 용 |
준 비 | 5분 | 그라인더 및 기타 장비 준비, 시연 스테이션 세팅 * 시연을 위한 시연 스테이션에서의 모든 준비를 마쳐야 합니다. |
시 연 | 10분 | 센서리 1잔, 하트 1잔, 로제타 1잔 *시연 시간 안에 제출 스테이션에 모든 작품을 제출해야 합니다. |
총 | 15분 | 준비시간과 시연시간의 시간간격은 특별한 경우가 아닌 경우 1분 내외로 진행됩니다. |
디자인 | 테크니컬 | 센서리 | 총 |
40% | 10% | 50% | 100% |
- 챔피언전은 1명씩 시연하게 되며 점수제 평가로 진행됩니다.
- 무대는 2개의 시연스테이션과 1개의 백룸(BACK ROOM)이 준비됩니다.
- 참가자들은 순차적으로 한 명씩 시연을 하게 되며, 백룸 또한 그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 준비된 시간 안에 센서리 1잔(동그라미)과 당일 오전에 추첨을 통해 선정된 심사위원 푸어오버 패턴 1잔, 심사위원 애칭 패턴 1잔을 제출해야 합니다.
챔피언전 진행방식
- 각 참가자들은 시연 순서와 스테이션 번호를 배정받습니다.
- 각 참가자들은 다음과 같이 할당된 시간에 준비를 마치고 시연하여 작품을 제출해야 합니다.
구 분 | 시 간 | 내 용 |
준 비 | 5분 | 그라인더 및 기타 장비 준비, 시연 스테이션 세팅 * 시연을 위한 시연 스테이션에서의 모든 준비를 마쳐야 합니다. |
시 연 | 10분 | 센서리 1잔(동그라미), 심사위원 푸어오버 패턴 1잔, 심사위원 애칭 패턴 1잔 *시연 시간 안에 제출 스테이션에 모든 작품을 제출해야 합니다. |
총 | 15분 | . |
디자인 | 테크니컬 | 센서리 | 총 |
40% | 10% | 50% | 100% |
-
구 분 | 내 용 |
디자인 | 선명도, 위치, 양, 완성도를 평가합니다. |
테크니컬 | 포터필터 청결, 스팀봉 청결, 그라인더 도징 후 청결, 머신 주변 청결 등의 내용을 평가합니다. |
센서리 (음료 시음) | 맛의 균형감, 마우스필, 애프터 테이스트, 온도를 평가합니다. * 또한 가장 중요한 것은 공식 원두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표현했는가 입니다. |
내 용 |
스테이션 테이블(머신), 제출 테이블, 에스프레소 머신, 그라인더, 넉박스, 템퍼, 템핑매트, 냉장 기계, 공식 라떼잔, 공식 원두, 우유, 쓰레기통 |
내 용 |
스팀 피쳐, 개인 지참물, 포타필터 린넨(타월), 스팀봉 행주, 청소용 행주, 애칭에 필요한 도구, 색소 *추가적으로 필요 시 샷글라스와 탬퍼 지참 가능 |
색대비
- 잔 안에 그려진 전체 디자인의 바깥 쪽 부분의 크레마를 얼마나 뚜렷하게 살려 표현했는지 평가 합니다.
선명도
- 잔 안에 그려진 디자인에서 결과 결사이, 디자인과 디자인 사이의 크레마가 얼마나 뚜렸하게 잘 표현 되었는지, 잔 안의 디자인이 흐릿하게 표현 되어 크레마와 구분이 되지 않는지 평가합니다.
위치
- 기본적으로 잔의 손잡이는 오른쪽(시계의 3시 방향)으로 놓고 봅니다. 잔 안에 그려진 디자인이 좌우 대칭을 잘 이루고 있는지 봅니다. 잔 안의 디자인이 위쪽, 아랫쪽, 왼쪽, 오른쪽 등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좋은 점수를 받기가 어렵습니다.
양
- 잔 안의 커피가 잔의 윗부분에서 평평한 상태라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잔의 윗부분으로 넘칠 듯이 너무 볼록 올라 오거나, 잔의 윗부분 아랫쪽으로 1cm이상 내려가 있다면 점수를 받을 수 없습니다.
완성도
- 색대비와 선명도, 위치, 양 등의 종합적인 평가로 이루어진다. 전체적 요소의 판단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앞 항목의 점수와 너무 크게 차이나는 점수를 받을 수는 없습니다. (예를 들어 크레마를 잘 살려서 색대비의 점수는 높았지만, 라떼아트를 또렸하게 띄우지 못해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면 완성도의 점수는 높은 점수 보다는 낮은 점수를 받게 될 것입니다.)
맛의 균형감
- 에스프레소 추출 수율에 따른 바디감 그리고 에스프레소의 추출된 양과 우유의 적당한 비율에 따른 조화
마우스필
- 라떼를 마셨을 때 입에서 느껴지는 텍스처(촉감)를 평가합니다.
애프터테이스트
- 라떼를 마시고 입에 남아 있는 여운을 평가합니다.
온도
- 우유를 마시기 좋은 온도로 스티밍해서 라떼를 만들었는지에 대한 평가를 합니다.
포터필터 청결
- 필터 바스켓 안 쪽에 물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합니다. 도징 후에 포타필터 외부에 커피가루가 묻어 있지 않도록 합니다.
스팀봉 청결
- 스팀 봉에 우유가 묻어 있지 않도록 합니다. 스팀봉을 닦는 행주는 따로 준비해서 그 행주로만 닦아야만 합니다. 스팀봉 전용 행주로 다른 곳을 닦거나, 테이블 위 아무곳이나 올려 놓지 않도록 합니다. 접시 또는 받침을 사용 하도록 합니다.
그라인더 도징 후 청결
- 그라인더의 원두가 나오는 부분이나, 주변이 원두 가루들로 지저분하지 않도록 합니다.
머신 주변 청결
- 머신 주변이 정리가 되어 있지 않거나, 물 또는 우우 등으로 어지럽혀 지지 않도록 합니다.
디자인 제공 by 엄폴